|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편서풍
- 군인시
- 이태원 압사 사고
- 우리말
- 가슴 아파요
- 아주 옛날에는 사람이 안 살았다는데
- 링크로스아카데미
- 날씨 좋은 추운 겨울
- 항공공학
- 항공우주공학
- 노드 전압법
- 억울할 수. 있다.
- 이태원 참사
- 우주공학
- 난생 처음 취득하는 유명한 자격증
- 잃어버린 땅 되찾기
- 논리와 오류
- 허무한 삶
- 10·29 참사
- 윤하 - 혜성
- 진실 앞에서
- 실내환경
- 정견
- 근궤적
- 전기전자공학
- 논증하는 법
- 날고싶다
- This shall be too brought to you by
- 키르히호프
- 백로야 가지마라
- Today
- Total
www.ndirection.kr
컴퓨터활용능력시험 1급 4-5주 이내 합격 요령 본문
2021. 5. 29. 21:56 글(https://publisher2016.tistory.com/105)을 이동
컴활1급은 컴퓨터활용능력 시험입니다.
컴퓨터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실기 능력을 확인하는 과정이죠.
자격시험은 절대평가로 일정 수준의 지식 소유 여부와 활용 능력만 확인하면 되기 때문에 문제 은행으로 내는 것이 서로 편합니다.
따라서 그 문제가 그 문제입니다.
- 필기
시나공 책을 관심있는 부분부터 읽습니다
최근 5개년 내로 하나씩 하나씩 기출문제 풀고 또 풀어보고 읽어보고 하면 됩니다.
모르면 시나공 책을 또 읽고 모르면 인터넷 찾아보고 지식을 정리하고 습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모르는 걸 알아간다기 보다는 이미 알려져 있는 걸 내가 몰랐고 상식 퀴즈 준비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결국 아는 만큼 이해한만큼 점수를 얻게 되어있습니다.
집중해서 3일-5일하면 합격할 수 있습니다.
3일 공부하고 시험 보고 다음날 아침 점수 확인하고
떨어졌으면 부족한 부분 공략해서 점수 올려서 최대 세 번 안으로 1주일 안으로 정리하면 됩니다.
- 실기
시나공 책을 실습부분만 최대한 "빠르게" 뭐 하는지 이해해가면서 1회 실습 완료합니다. (빠르게 해야합니다. 빠르게 하겠다고 해도 시간이 꽤 걸릴 겁니다.)
너무 이해가 안 가서 진도가 질질 끌리는 느낌이 나면 그냥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다른 거 하고 다시 돌아와서 보면 이해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배포한 예제를 시험보듯 시간 재고 풀어보세요
그리고 나서 부족했던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략하세요 (여기에 시간을 많이 투자해야 합니다.)
그리고 시험보러 가면 합격할 수 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배포한 예제 문제 구조 배점 그대로 나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누리집을 꼭 참고하세요.
시험은 연달아서 2번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보통 3번 본다고 하는데 2번이 적절한 것 같습니다.
시험이 끝나면 본인이 어디에서 틀렸는지 대충압니다. 그걸로 점수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합격할 확률이 큰 점수 턱걸이로 합격할 것 같으면
다시 연달아서 2번 시험을 그 다음주에 보세요. 같은요일 같은 시험장소에서 보면 더 좋습니다.
혹시 처음 본 날이 컨디션이 별로거나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좋은 컨디션인 시간에 맞춰 시험을 보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필기 실기 합쳐서 한 달 안에 딸 수 있습니다.
- 소프트웨어
Office 2007로 준비해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기본을 익히는 수준에서만 사용하고
Office 2016으로 다시 연습 해서 예상치 못한 이벤트가 시험중에 없게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험중에는 평소 잘 되는 간단한 것도 잘 안 되기 마련입니다.
저의 경우 그 간단한 통합 기능이 잘 안 돼서 집에 와서 왜 안 됐는지 분석하고 나서 어이가 없었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 자리 운빨 시험?
자리 운빨 시험이라고 그러는데 사실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 수준이 그 수준입니다. 어쨌든 시험 범위에 있는 건 일정 수준 이상 알아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자격시험이기 때문이죠.
아는 만큼 이해한 만큼 활용할 수 있는 만큼 점수 얻는다는 근본은 바뀌지 않습니다.
- 인강?
돈 주고 듣는 오대근인지 뭔지 학원 인강 필요 없습니다.
시나공 책으로 충분히 대비 가능합니다.
그리고 유튜브에 "독고리의 컴퓨터 공부방"에 "컴활 1급 필기 요약" 쭉 듣고 "컴활 1급 실기 요약" 쭉 듣고
실기에서는 필요한 부분만 따라 해보고 연습해보면 됩니다.
실제 시험을 세 번 정도 쳐본 결과 기출문제로 나온 것도 그대로 풀이를 하면 저작권 같은거에 걸리는지 뭔지 잘 모르겠지만 문제를 쉽게 같은 내용만으로 바꿔서 영상으로 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즉, 독고리의 컴퓨터 공부방에 나와있는 기출문제는 100% 기출문제가 아닙니다.
실제 시험 문제에서는 예를 들어 보안의 경우 텍스트 박스 잠금을 요구한다든지(독고리 영상에서는 시트랑 셀 보호만 다룸) 그런 게 나옵니다.
그리고 그런 변칙적인 것이 나오는 이유는 활용능력 시험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인강이 더 맞는 사람은 인강을 들으면 되겠습니다.
- 시험 비중
난이도와 내용을 종합적으로 따졌을 때
엑셀을 더욱 훨씬 많이 연습해야 합니다.
엑셀을 시간내에 다 풀고 검토할 수 있는 수준으로 연습해야 합니다.
저의 경우 고급 필터와 조건부 서식에서 실수한 부분을 찾아냈었습니다.
그럼 행운을 빕니다.
'전산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NIX 시스템 directory structure (0) | 2022.08.08 |
|---|---|
| 한글2010/2014 매크로 이용법 - 그림 캡션 자동으로 넣기 (0) | 2022.08.04 |
| 라즈베리파이4 핫스폿(핫스팟X) 끊김 해결 (0) | 2022.08.03 |
| PPT 그림 한글에 붙여넣을 때 고해상도 유지하는 방법 (0) | 202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