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잃어버린 땅 되찾기
- 논증하는 법
- 실내환경
- 정견
- 이태원 압사 사고
- 윤하 - 혜성
- 난생 처음 취득하는 유명한 자격증
- 날고싶다
- 군인시
- 이태원 참사
- 백로야 가지마라
- 날씨 좋은 추운 겨울
- 논리와 오류
- 항공공학
- 억울할 수. 있다.
- 편서풍
- 우주공학
- 10·29 참사
- 노드 전압법
- 진실 앞에서
- 키르히호프
- 근궤적
- 가슴 아파요
- 전기전자공학
- 아주 옛날에는 사람이 안 살았다는데
- 항공우주공학
- This shall be too brought to you by
- 링크로스아카데미
- 우리말
- 허무한 삶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4)
www.ndirection.kr
이 글은 고등학교 1학년 때 공부한 자료를 다시 편집하고 정리한 것이다. 2016. 6. 19. 00:00에 올린 글(https://publisher2016.tistory.com/28)을 이곳에 이동 이 글은 좋아요 1개를 받은 글 '왠'과 '웬'을 혼동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뜻이 전혀 다른 두 낱말의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 물론, 완전히 똑같은 소리라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 말을 할 때 소리에 있는 미세한 차이는 무시된다. 이것이 표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글을 쓸 때마다 어느 말이 맞는지 고민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1. 웬(어떤)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을 꾸밀 때에 쓴다. '어떤'으로 바꿀 수 있는 말에 '웬'을 쓴다. 2. 왠지(왜인지) 체언을 꾸..
2010년에 공부했던 것을 정리 2016. 6. 18. 00:00 에 올린 글(https://publisher2016.tistory.com/27)을 이동 본 글은 좋아요 4개를 받음 이 글은 고등학교 1학년 때 공부한 자료를 다시 편집하고 정리한 것이다. 사람들과 얘기할 때 이런 오류를 자주 범하기 때문에 읽고 틈틈히 익힌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가장 위험한 오류 : 인신공격, 원천봉쇄의 오류. 원천봉쇄 오류는 인신공격으로 이어지기 쉽다. 심리적 오류 : 논지에 대해 심리적으로 설득하려고 하면 오류를 범하게 된다. ㄱ. 감정에 호소 : 동정, 연민, 공포, 증오 등의 감정에 호소해서 논지를 받아들이게 하는 오류 예) 내가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죽을 줄 알아! ㄴ. 사적관계에 호소 : 정 때문에 논..
2014.11.16.에 수기로 적어놓은 것을 전산에 입력 2016. 6. 6. 01:00 에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홍신문화사, 1990)읽고 정리한 것을 다시 정리하다(https://publisher2016.tistory.com/11) 글을 이동 사랑의 실천에 관한 토의가 행할 수 있는 바는 사랑이 기술의 기본 전제와 있는 그대로의 사랑에 관한 접근 방법, 그리고 이들 전체와 접근 방법의 실천 등을 논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목표를 향한 단계는 오직 그 자신에 의해서만 실천될 수 있으며, 논의는 결정적인 단계가 취해지기 전에 끝난다. 1. 기술(습득)의 일반적인 요구조건(기술 실천에 있어 무엇이 필요한지 논의함) ㄱ. 훈련 º기술의 실천(매일 일정 시간 동안 실천하는 것을 말함). 이러한..
2021. 5. 29. 21:56 글(https://publisher2016.tistory.com/105)을 이동 컴활1급은 컴퓨터활용능력 시험입니다. 컴퓨터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실기 능력을 확인하는 과정이죠. 자격시험은 절대평가로 일정 수준의 지식 소유 여부와 활용 능력만 확인하면 되기 때문에 문제 은행으로 내는 것이 서로 편합니다. 따라서 그 문제가 그 문제입니다. - 필기 시나공 책을 관심있는 부분부터 읽습니다 최근 5개년 내로 하나씩 하나씩 기출문제 풀고 또 풀어보고 읽어보고 하면 됩니다. 모르면 시나공 책을 또 읽고 모르면 인터넷 찾아보고 지식을 정리하고 습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모르는 걸 알아간다기 보다는 이미 알려져 있는 걸 내가 몰랐고 상식 퀴즈 준비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2017. 6. 23. 22:51 글(https://publisher2016.tistory.com/62)을 이동 [자동제어] 근궤적 근사적으로 그리는 법 Given a G(s)H(s) : Loop Transfer Function. Then, you can derive the information of a characteristic equation from a given loop transfer function. Follow next steps for plotting a Root-Locus. Characteristics. 1. Number of branches = the order of the polynomial(the number of closed-loop poles) 2. Root Loci is sym..